6월의 약세장, 현명하게 투자하자
인플레이션 시대, 그리고 거의 모든 투자상품들의 약세장 우리는 어떻게 투자를 해야 될까? 전에 포스팅한 것처럼 변동성이 큰 지금 경제에서 미국이든 우리나라든 물가가 오르고 화폐의 가치가 하락함으로써 힘든 상황에 놓여있다. 현금을 묵혀두고 가치가 높아지기만 하는 시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 투자라는 걸 해야 되는데 주식이건 코인이건 모두 약세장으로 하락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중이다. 언제쯤 경제가 좋아질까? 인플레이션이 통제가 되어야 금리가 안정적으로 된다고 하는데 지금 먼 미래를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다. 현명하게 투자하는 것이 너무나도 필요한 상황이다.
투자 대가들의 투자방향
- 레이 달리오
세계 최대의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창업자 겸 공동 최고 투자책임자인 레이 달리오는 '현재 현금은 쓰레기나 다름없다'라고 말했다. 인플레이션으로 현금 보유자가 최대의 피해자가 될 것이라는 말이다. 최근 미국과 유럽의 회사채를 하락에 베팅한다고 한다. 미국, 유럽이 장기 침체에 빠져있기 때문에 곧 중국이 세계 초강대국으로 미국과 경쟁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한다.
- 케빈 오리어리
캐나다의 억만장자 투자자인 케빈 오리어도 '인플레이션 시대에서 돈을 투자하지 말아야 할 곳은 바로 은행에 저축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예금금리는 낮은 것에 비해 물가상승률은 6%가 넘는 것이다. 물가상승률에서 예금금리를 뺀 차이만큼 현금의 가치가 줄어들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한다.
-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겸 최고경영자 워런 버핏은 인플레이션 시대에 추천하는 투자법의 질문에 나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은 무엇인가? '그곳에서 특출 나게 잘하는 것인데 가장 좋은 투자는 당신 자신을 발전시키는 것이고 그곳에는 세금이 부과되지도 않는다.'라고 했다. 기술은 화폐와는 달리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수요가 있는 기술을 본인이 갖고 있다면 돈의 가치가 얼마큼 떨어져도 상관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 스탠리 드러켄밀러
헤지펀드계의 전설이자 억만장자 투자자로 알려진 스탠리 드러켄밀러는 지금 같은 인플레이션 시대에서는 투자를 쉰다고 전했다. 전반적인 약세장에 급반등을 하는 종목을 단타로 거래하는 방법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그렇게 공격 정인 투자보다는 한 발 뒤에서 물러나 있는 게 낫다고 전했다. 여러 번의 하락장을 경험하면서 이때에는 하락세 자체를 피하는 게 최선의 전략이다라는 것을 배웠다고 한다.
- 로버트 기요사키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로 유명한 로버티 기요사키는 시장이 무너지는 것은 당신이 더 큰 부자가 될 기회라고 했다. 과거부터 줄곧 금융시장 붕괴를 예견하며 저축하지 말고 금과 은, 비트코인에 투자하라고 권유해왔다.
현명하게 투자하는 방법
정말 어쩌면 지금 같은 시기에는 나 자신의 능력을 발달시키면서 잠시 투자를 쉬어가는 것도 방법인 것 같다. 현금의 가치가 하락한다고 하지만 계속 내려가는 하락장에 직접적으로 공격 투자했다가 마이너스를 보는 것보다는 나은 것 같으니 말이다. 그래도 투자를 해야겠다면 가장 현실적이고 현명하게 투자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았다.
- 소액으로만 투자하기
전재산을 투자하고, 빚을 내서 하는 빚투를 하다 보면 이제 하락의 끝이라고 생각하고 몰빵을 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은 더 올라갈 수도 있지만 아직 하방을 보고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에 전재산을 일명 탕진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투자가 아니고 투기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지금 현재는 연습 삼아 소액으로만 해보기를 추천한다.
- 분할 매수하기
모든 투자의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생각하는 분할매수이다. 일명 아래로 거미줄을 쳐놓고 내려갈 때마다 평단가를 낮추면서 매수를 하는 것이다. 하방이 어디까지 갈지 모르기 때문에 저항선에 맞춰서 단계별로 매수를 하면 된다. 참고로 나 같은 경우는 설마 여기까지 오겠어하는 곳까지 분할 매수를 들어가면 지하 끝까지 내려가는 경우가 많아 반등 시 짧게 먹고 나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차트를 많이보고 채널이나 지지 저항선을 어느 정도 예상할 줄 알아야 한다.
- 선물에서 공매도(숏) 방식의 투자하기
위험성이 높은 방법이기는 하나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은 선물 시장에서 숏으로 방향을 잡다 보면 흐름을 타고 이익을 얻을 수가 있다. 현물에서는 무조건 일명 '롱'으로 밖에 투자하지를 못하는데 선물시장은 하락장에서도 돈을 벌 수가 있어서 약세장에 선물시장으로 넘어와 공매도 투자를 하는 방법이 있다. 내가 느끼는 제일 고난도 방법인데 그때마다 대세인 방향성을 파악해서 좀 더 하락이 올 것 같을 때 약세장에서 숏으로 투자, 강세장이 되면 롱으로 투자하는 방식이다. 이거는 가장 차트를 많이보고 분석해서 내 매매방식을 정해 그대로만 해야 수익을 만들 수가 있다.
돈을 번다는 건 몸을 쓰는 거나 머리를 쓰는 거나 모두 힘든 것 같다. 그래도 살아야 되기 때문에 이 시기에 맞춰서 가장 적합한 방법을 더 공부해서 조금이라도 투자에 성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선택해야 할 것이다.
'경제야 놀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또 1등에 당첨된다면? (about. 세금) (0) | 2022.06.27 |
---|---|
조각 투자, 나도 한번 해볼까? (0) | 2022.06.26 |
저렴하지만 시원한 창문형 에어컨 (0) | 2022.06.22 |
미국 경제 회의(Feat. 옐런재무장관) (0) | 2022.06.21 |
나도 디지털 노마드 (0) | 2022.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