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야 놀자

일회용컵 보증금제의 득과 실

by 다루찡 2022. 6. 7.
반응형

일회용 컵 보증금제의 득과 실

 

더운 여름이 다가왔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카페 안에서 먹기보다는 밖에서 먹는 테이크아웃을 즐겨하다 보니 집 분리수거함에는 일회용 컵이 넘쳐나는 편이었다.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는 것은 알지만 편의성 때문에 사용하였는데 이제부터 예전에 잠깐 했었던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가 홍보기간이 지나면 6월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거라는 뉴스가 보도되었다. 과연 보증금 제도가 시도되면 우리가 얻는 이득과 잃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

 

보증금 반환을 위해 컵에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모습
보증금 반환을 위해 컵에 있는 바코드를 인식하는 모습, 출처:KBS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란?

 

환경부에서 '카페와 음식점에서는 더는 일회용 컵을 쓸 수 없다. 일회용 컵이 필요하다면 보증금을 포함해서 구매 후 컵을 반납하게 되면 보증금을 반환받으면 된다."며 올해 대대적으로 홍보한 제도이다.

카페 등에서 일회용 컵에 음료를 받기 위해 소비자가 보증금 300원을 내고 추후에 컵을 반납한 뒤 보증금을 돌려받는 것이다. 그 보증금은 컵에 붙인 별도의 바코드 스티커를 이용해 돌려받을 수 있고 거리에 주운 컵도 반납할 수도 있다.

이 제도가 시행되는 업종은 커피와 음료, 제과 제빵 업종에서 매장 수가 전국 백 곳 이상인 105개 브랜드가 대상이다.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의 득

 

일회용품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자는 취지가 이 제도가 잘 이행되면 가장 크게 얻게 되는 득이 될 것이다.

성인의 연간 1인당 커피 소비량은 353잔으로 세계 평균 132잔의 약 3배이다. 바쁜 현대사회에서 테이크아웃 문화 확산 및 코로나의 영향으로 카페 안 취식금지 등으로 테이크 아웃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여기서 가장 큰 환경적인 문제는 많은 소비자들이 일회용 컵은 모두 재활용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재활용률은 5% 미만이며, 95% 이상은 그냥 묻히거나 소각되어 환경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게 되어 환경오염의 주원인중 하나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환경에 대한 죄책 감 없이 사용해서 더 무분별한 많은 일회용 컵을 쓸 수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이 부분을 널리 알리고 시행해서 최대한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의 실

 

우선 소비자 입장이 아닌 점주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고 한다. 일회용 컵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는 취지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모두 공감하지만 지금 당장 시행 말고 제도적으로 보완을 한 후에 시행하자는 의견이다.

가장 문제는 돈이다. 가맹점주들은 제도 시행이 되면 추가적으로 비용이 발생되어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컵에 붙이는 '바코드 스티커 구입하기 위해서는 1컵당 17원이 들고 보증금 300원, 카드결제 수수료 1잔당 1.5원이 더 들어가는 것인데 더 문제는 가맹본사가 아닌 점주 개인이 비용을 부담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다음 문제는 노동이다. 소비자가 반환한 일회용 컵의 경우 음료 담겼던 컵이라 간단 세척이라도 해야 한 여름에 악취나 벌레로부터 피할 수 있을 것이고, 이로 인해 손이 더 많이 가게 될 것인데 오롯이 가게 노동력이 쓰이게 되는 것이다.

그 외 위생문제도 있을 수 있는데 여러 업주들이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는 부분이 있어 12월 1일로 유예되었는데 묘안을 최대한 빨리 찾아냈으면 좋겠다.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의 앞으로의 방향

 

제도를 시행하게 되면 여러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건 당연하다고 볼 수 있다. 지금 이 제도는 환경적으로 봤을 때는 꼭 필요한 부분이라고 보이지만 넘어야 할 부분이 많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여러 가지 부분에서 봤을 때 국내의 현실을 고려해서 국가와 가맹점주들과의 디렉트 의견 조율을 통해 최대한 빠르지만 바른 방향으로 가길 바란다.

그냥 내 생각은 너무 머리 아프니 그냥 대한민국 모든 사람들이 개인 텀블러 사용으로 바뀌어지는 날이 오는 게 나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우리 한 번 텀블러 사용에 동참해보자.

반응형

댓글